한국사 수업/초등학교 5학년 2학기 사회

[초등학교5학년 2학기 사회] 1.우리역사의 시작과 발전_4)삼국 통일과 발해의 건국_네번째

지니쌤 동진이 2017. 8. 15. 01:33

1단원 4. 삼국 통일과 발해의 건국 요점정리및 해설_네번째(64-67쪽)


1.우리역사의 시작과 발전

  1) 선사시대의 생활 모습

  2) 최초의 국가 고조선

  3) 고구려, 백제, 신라의 건국과 발전

  4) 삼국 통일과 발해의 건국


4. 삼국 통일과 발해의 건국


 신라와 발해 사람들의 생활 모습을 알아봅시다.


1. 신라
신분제도_귀족과 평민의 생활 모습이 다름.


귀족의 생활

평민의 생활

 <통일이후 신라>

-통일이후 신라는 넓어진 영토와 늘어난 인구 덕분에 경제력이 성장.

-농산물의 생산량이 늘어남.(사람들이 풍족한 생활을 할 수 있었습니다.)

-전쟁이 끝이 나자 사회가 안정됨.

도읍인 금성에 거주

토지를 대대로 물려받음.

토지를 국가에서 받음

노비도 많이 거느림

숯불로 지은 밥을 먹음.

큰 집에서 거주.

당과 교류가 활발해 지면서 귀족을 중심으로 당의 옷차림이 널리 유행함.

왕궁이나 귀족의 집 사찰 관청 등의 지붕은 기와를 이음.

농사생활

세금을 냄

군사훈련

궁궐 성곽 등을 짓는데 동원

평민은 초가집이나 흙, 나무로 만든 집에서 거주.

 

 

 

 

 


 해설

신라는 백제와 고구려를 멸망 시킨 후 넓은 영토를 차지하게 되었습니다. 신라도 전성기가 있었지만 늘 백제와 고구려에 시달리며 살았지만 이제 신라를 괴롭히는 나라는 없었습니다.
땅이 넓어졌고, 인구도 많이 졌기 때문에 경제력이 성장했습니다.
농사짓는 사람들이 많았고 생산량이 많이 늘었기 때문입니다. 특히 문무왕은 고구려와 백제의 유민들을 통합하려는 시도를 했습니다. 보통 멸망한 나라의 백성들은 노예가 되거나 괴롭힘을 당했지만 이들을 자신들의 땅에서 살면서 통합하려고 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사회는 안정을 찾아 갔습니다.

고대사회에는 신분제가 확실하게 나누어져 있었습니다. 신라때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우리는 귀족들과 평민들의 삶으로 나누어서 살펴 보겠습니다. 표를 참고해 주세요.
<표>를 보시면 알겠지만 귀족들과 평민들의 생활은 달랐습니다. 귀족들은 좋은 집에서 좋은 음식을 먹고 좋은 옷을 입었습니다. 평민들은 초가지집에서 살았고, 농사를 지으면서 살았으며 옷도 평범한옷을 입었습니다.
귀족들의 삶과 평민들의 삶이 다른 이유는 재산이 많고 적었기 때문이 아닙니다. 평민은 재산이 아무리 많아도 좋은 집과 좋은 옷을 입을 수 없었습니다. 그것이 금지되어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평민들은 농사를 지었을 뿐만아니라 전쟁이 있을 때 군사로, 큰 공사가 있을 때 노동으로 동원이 되었습니다.
귀족들은 벼슬을 했을 뿐 농사를 짓거나 군인이나 성벽등을 쌓는 노동은 하지 않았습니다.

<신라의 귀족>(64쪽)
재상가에는.....노비가 3천명이고 비슷한 수의 호위 군사와 소, 말, 돼지가 있었다. 짐승들을 바다 가운데 섬에서 길러 필요할 때 활로 소아서 잡아먹었다. -신당서-
귀족의 생활을 알 수 있는 유물들.(초등학교 5학년 2학기 사회 64쪽)


▲귀족들의 생활 모습을 알 수 있는 유물(초등학교 5학년 2학기 사회64쪽)
나무 주사위(주사위 14면에 소리 없이 춤추기, 얼굴 간질여도 꼼짝하지 않기 등 여러가지 벌칙이 새겨져 있어 당시 귀족의 놀이 문화를 알 수 있다.)
경주 월지 금동 초 심지 가위.(신라 귀족은 금동으로 가위를 만들어 사용하였다. 금동 초 심가위는 초의 심지를 자르는데 사용하였다.)
경주 동궁과 월지(왕이 신하들과 함께 잔치를 벌인 곳이다. 나무 주사위와 금동 초 심지 가위 등 귀족들을 생활을 엿 볼 수 있는 3만 여점의 유물들이 발견되었다.)


<신라의 평민>(65쪽)
효녀 ‘지은’은 홀어머니를 모시느라 나이 32세가 되도록 결혼하지 못했다. 집안 형편이 어려워 남의 집 일을 하고 삯을 받아 겨우 먹고살았다. 나중에는 부잣집 종으로 일을하여 어머니를 봉양 하였다. 어머니는 딸이 평민에서 종이 된 사실을 알고 대성통곡하였다. 지은도 함께 울었다. -삼국사기-


▲민정문서_신라에서 노동력을 동원하고 세금을걷기 위하여 작성한 문서이다. 인구 농사짓는 땅의 넓이, 소와 말의 수, 뽕 나무의 수 등을 조사하여 기록하였다.(초등학교 5학년 2학기 사회 65쪽)


신라 사람들의 생활은 어떠하였을까요?(65쪽)


2. 발해
① 북쪽에 있었기 때문에 날씨가 추워 논농사에 적합하지 않음.
② 땅이 넓어 여러 작물을 재배.(성터에서 탄화된 콩, 메밀, 보리, 수수등이 발굴)
③ 농기구 저장 창고 발견.
④ 잡곡과 해산물을 먹었고 가축도 기름.
⑤ 다양한 형태의 그릇을 사용.
⑥ 궁전: 화려하게 장식한 기와로 지붕을 이음.
⑦ 평민은 땅 위나 반지하에서 집을 짓고 거주,
⑧ 귀족은 고구려와 당 문화의 영향을 받은 옷을 입음.
⑨ 여자들은 머리에 비녀와 빗을 꽂아 장식. 장신구로 몸을 꾸임.


 해설

발해는 북쪽지역에 위치했습니다. 논농사를 짓기에 적합한 땅은 아닙니다. 남쪽보다 많이추웠기 때문입니다. 논농사 대신 밭농사를 많이 지었으며, 콩, 메밀, 보시 수수등을 심은 흔적들이 남아 있습니니다. 발해의 성터에서 탄화된 곡식들이 발견되었습니다. 농기구 저장창고 그리고 다양한 형태의 그릇들도 발견되었습니다. 이를 통해서 당시 사람들의 생활을 알 수 있습니다.

논농사 뿐만 아니라 바닷가에서 잡은 해산물 그리고 가축도 키우면서 생활을 했습니다.

발해 역시 신분은 정해져 있었습니다. 귀족들은 고구려와 당의 문화를 받은 옷을 입었습니다. 여자들은 비녀등 머리 장식들, 장신구들을 사용한 벽화가 발견되었는데, 이를 통해서 귀족들을 삶을 추측할 수 있습니다.


▲발해의 토기(초등학교 5학년 2학기 사회 66쪽)

발해 구름모양 자배기(복원모형)_바라해 귀족이 사용한 구름 모양 질그릇
▲정효공주 무덤에 그려진 발해 사람의 옷차림(중국 허룽)


[신라와 발해의 불교문화](67쪽)


1. 신라
① 통일이후 신라는 삼국의 문화를 하나로 합침.
② 당 문화를 받아들임.
③ 원효와 의상 등의 노력으로 불교가 평민에게도 널리 보급됨.

▲원효와 의상(초등학교 5학년 2학기 사회 67쪽)


 해설

신라는 고구려와 백제의 유민들을 통합하려 했다고 했지요. 신라는 백제와 고구려 사람들의 삶을 존중해 주었습니다. 백제의 문와 고구려의 문화를 존중해 주면서 그것을 수용했습니다. 즉 고구려 백제 신라의 문화를 하라로 통합하려는 노력을 하였습니다. 이런 노력을 통해서 사회의 안정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만약 백제와 고구려의 문화를 배척해고, 신라의 문화만을 고집하고 강요했다면 사회가 안정을 찾지 못했을 것입니다.
지금도 우리들은 서로 다른 문화를 존중해줄 수 있어야 할 것입니다.
뿐만아니라 당의 문화 역시 받아들였습니다.
원효와 의상은 불교를 공부하러 당으로 유학을 떠났습닏. 중간에 원효는 돌아오고 의상만 당으로 가서 공부했습니다.
원효가 다시 돌아온 이유는 "어느날 밤 원효과 의상이 동굴에서 잠을 자는데, 목이 말랐던 원효가 바가지에 있던 물을 마셨는데 정말 시원했습니다. 아침에 일어나 보니 자신이 마신 물이 해골에 있는 썪은 물이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이를 통해서 '무엇이든지 내 마음먹기에 다른 것이구나'라는 것을 깨닫고 다시 신라로 돌아왔습니다." (이 이야기는 너무 유명하지만 실제로 일어난 일이 아니라 전해지는 이야기라고 합니다.)

원효와 의상은 신라의 불교를 발전시킨 대표적인 사람입니다.


2. 발해
① 불교를 중시함.
② 불교문화: 석상, 석등, 연꽃무늬 기와


 해설

발해 역시 불교를 중시하였습니다.
발해에서 발견된 석상 석등 연꽃 무늬기와 등이 그 증거입니다.


발해이불병좌상(일본도쿄)_두 불상이 나란히 앉아 있는 모습이다.
발해 연꽃무늬 수막새와 벽돌_연꽃은 불교를 상징하는 꽃이다.(초등학교 5학년 2학기 사회 67쪽)

-------------------------------------------------------------------------